Changes

From Opengenome.net

암의 전이 (metastasis)와 혈관 형성 (angiogenesis)

1,210 bytes added, 12:56, 19 October 2006
no edit summary
<br />
<strong>1. Primary tumor (1차 종양)<br />
&nbsp;&nbsp; </strong>1) Tumor initiation&nbsp;<br />&nbsp;&nbsp;&nbsp;&nbsp;&nbsp; - Oncogene에서의 돌연변이 또는 염색체의 재배열 (chromosome rearrangement)에 의해 primary malignant neoplasm (1차 악성 종양)을 형성한다.<br />&nbsp;&nbsp; 2) Tumor promotion &amp; progression<br />&nbsp;&nbsp;&nbsp;&nbsp;&nbsp; -&nbsp;Endogenous,&nbsp;exogenous factor에 의한&nbsp;genome instability<br />&nbsp;&nbsp;&nbsp;&nbsp;&nbsp; - Tumor cell에 대한 promoter 유전자는 활성화되고, suppressor 유전자는 억제됨<br />&nbsp;&nbsp;&nbsp;&nbsp;&nbsp; - Clonal expansion<br />&nbsp;&nbsp;&nbsp;&nbsp;&nbsp; - Loss of differentiation (분화능의 상실)<br />&nbsp;&nbsp;&nbsp;&nbsp;&nbsp; - Apoptosis의 감소<br />
<br />
&nbsp;&nbsp; 3) Tumor cell의 proliferation<br />&nbsp;&nbsp;&nbsp;&nbsp;&nbsp;&nbsp;이 단계에서는 angiogenesis(혈관 신생)이 일어나는데, 일반적으로 tumor cell 내부는 hypoxia 상태가 되므로, 이를 극복, 즉 혈액 공급을 원할히 하기 위해 HIF-1 (hypoxia inducible factor - 1) 단&nbsp; 백질의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HIF-1은 tumor cell의 생존에 필요한 유전자를 turn-on시키는 전사 인자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의 발현 수치가 높아지고, 결국 tumor cell 쪽으로 새로운 혈관이 생성되는 것이다. &nbsp;&nbsp;&nbsp;<br /><br /><strong>2. Invasion of tissue</strong><br />&nbsp;&nbsp; 이차종양의 시발과 진행이 뒤따르기 위해서는 정상 조직에서 침윤성 조직 (invasive tissue)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br />1) EMT (epithelial mesenchymal transition) : Invasive cancer growth에 중요한 것으로, epithelia로부터 mesenchymal cell들을 형성한다.<br />2) 널리 퍼지기 위해서, soli tumor는 부착하려는 성질을 낮추어야 하는데, E-cadherin, integrin과 같은 cell adhesion molecule의 발현을 억제한다.<br />3) 원래의 조직으로부터 ECM (extra cellular matrix)을 침투하기 위해, MMP와 같은 여러 proteolytic enzyme들을 생산하면서 침투, 이동한다.<br /><br /><strong>3. Intravasation<br />&nbsp;&nbsp; </strong>혈관계로 tumor cell이 들어가는데, 암세포는 lymphatics (임파관), venules (작은 정맥), capilaries (모세혈관)으로 들어간다. 단계는 vascular basement membrane (기저막)을 관통, interstitial stroma (간질 기질)로의 침임, 다시 기저막 관통 순으로 진행된다.<br /><br /><strong>4. Circulation in lymph and blood</strong><br />&nbsp;&nbsp; Immune surveilance로부터 회피, mechanical stress에 대한 저항, platelet에 부착, 각각의 서로 떨어져 있는 organ의 endothelium에 부착 등의 기작을 통하여 이루어진다.<br />
0
edits

Navigation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