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아드레날린"

From Opengenome.net
 
 
Line 1: Line 1:
 
<span class="text13">&nbsp;
 
<span class="text13">&nbsp;
 
<p>&nbsp;에피네프린&nbsp;또는 에피레나민이라고도 한다. 화학식은 C<sub>9</sub>H<sub>13</sub>O<sub>3</sub>N이다.&nbsp; 천연으로 존재하는 것은 L형(좌회전성)뿐인데, 유기합성된 D형(우회전성)보다 약 15배나 생리적인 활성이 강하다. [[메틸기]](<span onmouseover="tooltip_on('','기 : 터 기, ㉠터 ㉡근본 ㉢사업 ㉣자리를 잡다 ㉤기인하다')" onmouseout="tooltip_off()">基</span>)가 떨어진 [[노르에피네프린]](노르아드레날린)도 같은 활성을 나타내나, 에피네프린보다는 약하다. </p>
 
<p>&nbsp;에피네프린&nbsp;또는 에피레나민이라고도 한다. 화학식은 C<sub>9</sub>H<sub>13</sub>O<sub>3</sub>N이다.&nbsp; 천연으로 존재하는 것은 L형(좌회전성)뿐인데, 유기합성된 D형(우회전성)보다 약 15배나 생리적인 활성이 강하다. [[메틸기]](<span onmouseover="tooltip_on('','기 : 터 기, ㉠터 ㉡근본 ㉢사업 ㉣자리를 잡다 ㉤기인하다')" onmouseout="tooltip_off()">基</span>)가 떨어진 [[노르에피네프린]](노르아드레날린)도 같은 활성을 나타내나, 에피네프린보다는 약하다. </p>
 +
<p>&nbsp;</p>
 
<p>&nbsp;아드레날린에는 [[신경]]에 대한 작용과 [[호르몬]] 작용이 있다. [[교감신경]]이 흥분한 상태가 되면 심장의 박동이 빨라지고 모세혈관이 수축하므로 혈압이 상승한다. 아드레날린을 생체에 투여하면 유사한 증세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아드레날린은 교감신경에 있어서의 자극의 전달물질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중추로부터의 전기적인 자극에 의해 교감신경의 말단에서는 아드레날린이 분비되어 근육에 자극을 전달한다. [[부교감신경]]이나 운동신경에서는 [[아세틸콜린]]이 이 구실을 하고 있다. </p>
 
<p>&nbsp;아드레날린에는 [[신경]]에 대한 작용과 [[호르몬]] 작용이 있다. [[교감신경]]이 흥분한 상태가 되면 심장의 박동이 빨라지고 모세혈관이 수축하므로 혈압이 상승한다. 아드레날린을 생체에 투여하면 유사한 증세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아드레날린은 교감신경에 있어서의 자극의 전달물질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중추로부터의 전기적인 자극에 의해 교감신경의 말단에서는 아드레날린이 분비되어 근육에 자극을 전달한다. [[부교감신경]]이나 운동신경에서는 [[아세틸콜린]]이 이 구실을 하고 있다. </p>
 +
<p>&nbsp;</p>
 
<p>&nbsp;한편, 호르몬으로서는 부신수질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혈당량]](<span onmouseover="tooltip_on('','혈 : 피 혈, ㉠피 ㉡물들이다 ㉢피칠하다')" onmouseout="tooltip_off()">血</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당 : 사탕 당, ㉠사탕 ㉡엿')" onmouseout="tooltip_off()">糖</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량 : 헤아릴 량(양), ㉠헤아리다 ㉡추측하다 ㉢달다 ㉣재다 ㉤되다 ㉥가득차다 ㉦양 ㉧분량 ㉨용기 ㉩용적 ㉪기량 ㉫성격 ㉬재능 ㉭되')" onmouseout="tooltip_off()">量</span>)을 조절하고 있다. [[글리코겐]]을 분해하는 효소 [[포스포릴라아제]]는 [[아데닐산]]에 의하여 활성화된다. 아드레날린과 [[이자]]의 [[랑게르한스섬]]에 있는 &alpha;세포에서 분비되는 [[글루카곤]]이 이 작용을 도와 포스포릴라아제의 활성을 높인다. 그 결과 간이나 [[골격근]]에서의 글리코겐의 분해가 촉진되어 혈액 속의 당이 증가하게 된다. 동시에 [[뇌하수체]]의 당질대사(<span onmouseover="tooltip_on('','당 : 사탕 당, ㉠사탕 ㉡엿')" onmouseout="tooltip_off()">糖</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질 : 바탕 질, 폐백 지, ㉠바탕 ㉡근본 ㉢볼모 ㉣묻다 ㉤바르게 하다 ㉥전당잡다 ㉦이루다 ㉧질박하다 ⓐ폐백(贄) (지)')" onmouseout="tooltip_off()">質</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대 : 대신할 대, ㉠대신하다 ㉡번갈아 ㉢시대 ㉣일생 ㉤계승의 차례 ㉥대금')" onmouseout="tooltip_off()">代</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사 : 사례할 사, ㉠사례하다 ㉡사죄하다 ㉢빌다 ㉣사양하다 ㉤물러나다 ㉥시들다 ㉦끊다')" onmouseout="tooltip_off()">謝</span>) 호르몬과 [[부신피질]]의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등도 혈당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며, 반대로 이자의 랑게르한스섬의 &beta;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은 혈액 속의 당의 양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이들 호르몬의 공동작용에 의하여 혈액 속의 당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생체 내에서의 합성은 [[티로신]]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을 거쳐 이루어지며, 분해는 수산기(<span onmouseover="tooltip_on('','수 : 물 수, ㉠물 ㉡물과 관련된 일 ㉢수성(태양에 가장 가까운 별)')" onmouseout="tooltip_off()">水</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산 : 초 산, ㉠초 ㉡산 ㉢산소 ㉣실 ㉤가난하다 ㉥고되다 ㉦시다 ㉧슬프다')" onmouseout="tooltip_off()">酸</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기 : 터 기, ㉠터 ㉡근본 ㉢사업 ㉣자리를 잡다 ㉤기인하다')" onmouseout="tooltip_off()">基</span>)가 [[메틸화]]되어 활성을 상실한 다음 아민산화효소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p>
 
<p>&nbsp;한편, 호르몬으로서는 부신수질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혈당량]](<span onmouseover="tooltip_on('','혈 : 피 혈, ㉠피 ㉡물들이다 ㉢피칠하다')" onmouseout="tooltip_off()">血</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당 : 사탕 당, ㉠사탕 ㉡엿')" onmouseout="tooltip_off()">糖</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량 : 헤아릴 량(양), ㉠헤아리다 ㉡추측하다 ㉢달다 ㉣재다 ㉤되다 ㉥가득차다 ㉦양 ㉧분량 ㉨용기 ㉩용적 ㉪기량 ㉫성격 ㉬재능 ㉭되')" onmouseout="tooltip_off()">量</span>)을 조절하고 있다. [[글리코겐]]을 분해하는 효소 [[포스포릴라아제]]는 [[아데닐산]]에 의하여 활성화된다. 아드레날린과 [[이자]]의 [[랑게르한스섬]]에 있는 &alpha;세포에서 분비되는 [[글루카곤]]이 이 작용을 도와 포스포릴라아제의 활성을 높인다. 그 결과 간이나 [[골격근]]에서의 글리코겐의 분해가 촉진되어 혈액 속의 당이 증가하게 된다. 동시에 [[뇌하수체]]의 당질대사(<span onmouseover="tooltip_on('','당 : 사탕 당, ㉠사탕 ㉡엿')" onmouseout="tooltip_off()">糖</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질 : 바탕 질, 폐백 지, ㉠바탕 ㉡근본 ㉢볼모 ㉣묻다 ㉤바르게 하다 ㉥전당잡다 ㉦이루다 ㉧질박하다 ⓐ폐백(贄) (지)')" onmouseout="tooltip_off()">質</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대 : 대신할 대, ㉠대신하다 ㉡번갈아 ㉢시대 ㉣일생 ㉤계승의 차례 ㉥대금')" onmouseout="tooltip_off()">代</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사 : 사례할 사, ㉠사례하다 ㉡사죄하다 ㉢빌다 ㉣사양하다 ㉤물러나다 ㉥시들다 ㉦끊다')" onmouseout="tooltip_off()">謝</span>) 호르몬과 [[부신피질]]의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등도 혈당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며, 반대로 이자의 랑게르한스섬의 &beta;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은 혈액 속의 당의 양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이들 호르몬의 공동작용에 의하여 혈액 속의 당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생체 내에서의 합성은 [[티로신]]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을 거쳐 이루어지며, 분해는 수산기(<span onmouseover="tooltip_on('','수 : 물 수, ㉠물 ㉡물과 관련된 일 ㉢수성(태양에 가장 가까운 별)')" onmouseout="tooltip_off()">水</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산 : 초 산, ㉠초 ㉡산 ㉢산소 ㉣실 ㉤가난하다 ㉥고되다 ㉦시다 ㉧슬프다')" onmouseout="tooltip_off()">酸</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기 : 터 기, ㉠터 ㉡근본 ㉢사업 ㉣자리를 잡다 ㉤기인하다')" onmouseout="tooltip_off()">基</span>)가 [[메틸화]]되어 활성을 상실한 다음 아민산화효소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p>
 +
<p>&nbsp;</p>
 
<p>&nbsp;백색의 분말로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갈색으로 된다. 물에 녹기 어렵고, 에탄올이나 에테르 등에도 녹지 않는다. 염화철(Ⅲ)의 수용액을 가하면 산성에서는 녹색, 알칼리성에서는 분홍색의 발색반응(<span onmouseover="tooltip_on('','발 : 필 발, ㉠피다 ㉡쏘다 ㉢일어나다 ㉣떠나다 ㉤나타나다 ㉥드러내다 ㉦밝히다 ㉧들추다')" onmouseout="tooltip_off()">發</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색 : 색 색, ㉠빛 ㉡색 ㉢색정 ㉣갈래 ㉤낯 ㉥색칠하다')" onmouseout="tooltip_off()">色</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반 : 돌이킬 반, 뒤집을 번, 팔 판, ㉠돌이키다 ㉡되받다 ㉢되풀이하다 ㉣뒤집다 ㉤배반하다 ㉥반대하다 ㉦휘다 ⓐ뒤집다 (번) ⓑ팔다 (판)')" onmouseout="tooltip_off()">反</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응 : 응할 응, ㉠응하다 ㉡응당')" onmouseout="tooltip_off()">應</span>)을 일으킨다. 의약품에서는 이것을 보통 염산에피레나민이라고 하여 안정제와 보존제를 가하여 1,000배 용액으로 하여 사용한다. 위산(<span onmouseover="tooltip_on('','위 : 밥통 위, ㉠밥통 ㉡별이름')" onmouseout="tooltip_off()">胃</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산 : 초 산, ㉠초 ㉡산 ㉢산소 ㉣실 ㉤가난하다 ㉥고되다 ㉦시다 ㉧슬프다')" onmouseout="tooltip_off()">酸</span>)에 의하여 분해되므로 내복으로 사용하지는 않는다. 교감신경 흥분제 &middot;혈관수축제 &middot;혈압상승제로 사용되며, 출혈을 멎게 하고 기관지 천식의 발작에 효과가 있다. 주사제 &middot;도포제(<span onmouseover="tooltip_on('','도 : 진흙 도, ㉠진흙 ㉡길 ㉢매흙질하다 ㉣칠하다 ㉤지우다 ㉥더럽히다 ㉦괴로움')" onmouseout="tooltip_off()">塗</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포 : 베 포, ㉠베 ㉡돈 ㉢베풀다 ㉣벌이다 ㉤펴다')" onmouseout="tooltip_off()">布</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제 : 약지을 제, ㉠약지다 ㉡조제하다 ㉢약재')" onmouseout="tooltip_off()">劑</span>) &middot;스프레이제로 한다. 수용액은 공기에 의해 산화되어 빨간색으로 변한다. 자주 사용하게 되면 불안 &middot;두통 &middot;불면 &middot;심계 등의 부작용이 따른다. </p>
 
<p>&nbsp;백색의 분말로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갈색으로 된다. 물에 녹기 어렵고, 에탄올이나 에테르 등에도 녹지 않는다. 염화철(Ⅲ)의 수용액을 가하면 산성에서는 녹색, 알칼리성에서는 분홍색의 발색반응(<span onmouseover="tooltip_on('','발 : 필 발, ㉠피다 ㉡쏘다 ㉢일어나다 ㉣떠나다 ㉤나타나다 ㉥드러내다 ㉦밝히다 ㉧들추다')" onmouseout="tooltip_off()">發</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색 : 색 색, ㉠빛 ㉡색 ㉢색정 ㉣갈래 ㉤낯 ㉥색칠하다')" onmouseout="tooltip_off()">色</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반 : 돌이킬 반, 뒤집을 번, 팔 판, ㉠돌이키다 ㉡되받다 ㉢되풀이하다 ㉣뒤집다 ㉤배반하다 ㉥반대하다 ㉦휘다 ⓐ뒤집다 (번) ⓑ팔다 (판)')" onmouseout="tooltip_off()">反</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응 : 응할 응, ㉠응하다 ㉡응당')" onmouseout="tooltip_off()">應</span>)을 일으킨다. 의약품에서는 이것을 보통 염산에피레나민이라고 하여 안정제와 보존제를 가하여 1,000배 용액으로 하여 사용한다. 위산(<span onmouseover="tooltip_on('','위 : 밥통 위, ㉠밥통 ㉡별이름')" onmouseout="tooltip_off()">胃</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산 : 초 산, ㉠초 ㉡산 ㉢산소 ㉣실 ㉤가난하다 ㉥고되다 ㉦시다 ㉧슬프다')" onmouseout="tooltip_off()">酸</span>)에 의하여 분해되므로 내복으로 사용하지는 않는다. 교감신경 흥분제 &middot;혈관수축제 &middot;혈압상승제로 사용되며, 출혈을 멎게 하고 기관지 천식의 발작에 효과가 있다. 주사제 &middot;도포제(<span onmouseover="tooltip_on('','도 : 진흙 도, ㉠진흙 ㉡길 ㉢매흙질하다 ㉣칠하다 ㉤지우다 ㉥더럽히다 ㉦괴로움')" onmouseout="tooltip_off()">塗</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포 : 베 포, ㉠베 ㉡돈 ㉢베풀다 ㉣벌이다 ㉤펴다')" onmouseout="tooltip_off()">布</span><span onmouseover="tooltip_on('','제 : 약지을 제, ㉠약지다 ㉡조제하다 ㉢약재')" onmouseout="tooltip_off()">劑</span>) &middot;스프레이제로 한다. 수용액은 공기에 의해 산화되어 빨간색으로 변한다. 자주 사용하게 되면 불안 &middot;두통 &middot;불면 &middot;심계 등의 부작용이 따른다. </p>
 
</span>
 
</span>

Latest revision as of 12:08, 18 January 2006

 

 에피네프린 또는 에피레나민이라고도 한다. 화학식은 C9H13O3N이다.  천연으로 존재하는 것은 L형(좌회전성)뿐인데, 유기합성된 D형(우회전성)보다 약 15배나 생리적인 활성이 강하다. 메틸기()가 떨어진 노르에피네프린(노르아드레날린)도 같은 활성을 나타내나, 에피네프린보다는 약하다.

 

 아드레날린에는 신경에 대한 작용과 호르몬 작용이 있다. 교감신경이 흥분한 상태가 되면 심장의 박동이 빨라지고 모세혈관이 수축하므로 혈압이 상승한다. 아드레날린을 생체에 투여하면 유사한 증세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아드레날린은 교감신경에 있어서의 자극의 전달물질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중추로부터의 전기적인 자극에 의해 교감신경의 말단에서는 아드레날린이 분비되어 근육에 자극을 전달한다. 부교감신경이나 운동신경에서는 아세틸콜린이 이 구실을 하고 있다.

 

 한편, 호르몬으로서는 부신수질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혈당량()을 조절하고 있다. 글리코겐을 분해하는 효소 포스포릴라아제아데닐산에 의하여 활성화된다. 아드레날린과 이자랑게르한스섬에 있는 α세포에서 분비되는 글루카곤이 이 작용을 도와 포스포릴라아제의 활성을 높인다. 그 결과 간이나 골격근에서의 글리코겐의 분해가 촉진되어 혈액 속의 당이 증가하게 된다. 동시에 뇌하수체의 당질대사() 호르몬과 부신피질글루코코르티코이드 등도 혈당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며, 반대로 이자의 랑게르한스섬의 β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은 혈액 속의 당의 양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이들 호르몬의 공동작용에 의하여 혈액 속의 당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생체 내에서의 합성은 티로신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을 거쳐 이루어지며, 분해는 수산기()가 메틸화되어 활성을 상실한 다음 아민산화효소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백색의 분말로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갈색으로 된다. 물에 녹기 어렵고, 에탄올이나 에테르 등에도 녹지 않는다. 염화철(Ⅲ)의 수용액을 가하면 산성에서는 녹색, 알칼리성에서는 분홍색의 발색반응()을 일으킨다. 의약품에서는 이것을 보통 염산에피레나민이라고 하여 안정제와 보존제를 가하여 1,000배 용액으로 하여 사용한다. 위산()에 의하여 분해되므로 내복으로 사용하지는 않는다. 교감신경 흥분제 ·혈관수축제 ·혈압상승제로 사용되며, 출혈을 멎게 하고 기관지 천식의 발작에 효과가 있다. 주사제 ·도포제() ·스프레이제로 한다. 수용액은 공기에 의해 산화되어 빨간색으로 변한다. 자주 사용하게 되면 불안 ·두통 ·불면 ·심계 등의 부작용이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