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ll culture history

From Opengenome.net
Revision as of 22:47, 5 January 2007 by Kjh (talk | contribs)
(diff) ← Older revision | Latest revision (diff) | Newer revision → (diff)

           Cell culture history

 1900년대 초 HarrisonCarrel등에 의해 시작된 cell culture는 이제 분자 생물학, 세포생물학, 의학을 비롯한 많은 분야의 실험자들에게 있어서 없어서는 않될 기본적인 기술이 되었다.   동물세포의 배양으로 시작된 이 실험은 1907년 Harrison이 올챙이의 척색에서 취한 신경섬유세포를 개구리의 응고 림프액에 배양함으로써 시작되었다. 그후 많은 연구자의 노력에 의하여 혈청과 조직 추출액에 무기염류, 아미노산, 비타민등을 첨가함으로써 동물 세포를 배양기 안에서 재현성이 좋게 배양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20세기 중엽에 Hela세포를 비롯한 여러 세포주가 수립되기 전까지, 세포 배양법은 연구자가 일반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되지 못했는데 그이유는 아주 복잡한 복합산물이며 여러가지 상황에 따라 성분이 변하여 연구결과의 재현성을 떨어뜨리는 혈청과 특이적인 기능을 발현하는 세포주의 수립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정상세포를 생체 밖에서 배양할 경우 여러회 분열한 후 사멸하여 버리기 때문에 실험할 때마다 조직에서 세포를 추출하는 일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 후 개발된 암화에 의한 세포주의 확립은 동물세포를 이용한 연구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최근에는 세포주 수립 기술이 확립되고 각종기능을 가진 세포주가 만들어지면서, 혈청을 첨가하지 않고 인위적으로 성분을 첨가하여 구성성분을 이미 알고 있는 배지에 배양하는 무혈청 배양법이 Sato등에 의해서 확립되었다.
  무혈청 배양의 시도는 1960년대 부터 시작되었는데 1963년과 1965년에 Ham은 혈청 공급 없이 CHO세포를 클론닝 할 수 있었다.
Ham은 세포배양에서 혈청의 역할은 주로 영양분의 공급에 있다고 보고, 세포 영양학의 입장에서 배지의 영양환경을 엄밀하게 조정함으로써 배지 성분에서 혈청을 제거 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생각으로 각종의 세포주를 사용하여 50-60종류의 성분을 함유한 많은 배지가 고안되엇다. 1970년대에 들어서 Sato는 세포배양에 따른 혈청의 역할은 영양분의 공급보다는 오히려 호르몬의 공급에 있다고 생각하여 각종의 호르몬류를 혈청 대신 첨가함으로써 여러종류의 세포주를 무혈청에서 배양하는 데 성공하였다.
  최근에는 MCDB series배지가 개발되어 이에 여러 첨가제가 더하야져 다수의 세포주의 무혈청 배양에 이용되고 있다. 현재 동물세포 배양 법은 새로운 생리 활성물질의 발견, 생리활성물질의 생산 기술, 배양시스템의 개발, 천연 생리활성물질로부터 유도체의 제작, 치교용 세포의 생산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그 기술이 점점 더 발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