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는 단순히 각각 유전자의 염기순서를 따진후에 그 기능을 살펴 보았지만
현재에는 전체의 유전자를 연구하는 통합 학문을 다루고 있다.
즉 전체의 염기서열(구조 유전체)을 분석한 후에 이 유전자가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기능유전체) 살펴본다.
1. 구조유전체학
사람의 유전체는 32억 bp이다.
한번에 알아낼 수 있는 염기순서는 750bp이다.
따라서 4백 30만번의 실험이 필요하게 된다.
한개의 염기순서를 알아내는 기계를 시용할 경우에 96개의 gel을 2시간동안을 사용한다 가정하면
하루에 86만 4천개의 bp을 읽어낼 수 있다.
만약 100개의 기계를 가지고 있고 하루에 5천만 bp를 읽게 된다면
유전체의 염기서열을 아는데 64일이 걸리게 된다.
이렇게 알게된 염기서열은 중간에 gap이 생기게 되는데 이것을 하나로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Shot Gun
Clone contig
유전자 지도
2. 기능 유전체
모든 유전자의 기능을 연구하는 것을 말한다. 즉 염기순서를 끝내고 유전자의 위치를 알아낸후 기능을 알아내는 방법이다.
유전자를 구별하는 방법
Transcriptone과 prote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