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생교"
Line 1: | Line 1: | ||
− | Bioreligion<br /><br />생교는 종교적인 신앙을 갖고자 하는 인간이 자신의 존재와 생명현상에 대한 이해, 존경, 효율적인 사고를 통해 감정적인 만족을 얻고 행복감과 자신감을 얻기 위해 만들어진 종교이다.<br /><br /><strong>역사</strong><br />생교는 1990년대 말부터 기존의 일부 종교들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필요성이 증가한다는 생각에 따라 발전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초반에 그것에 대한 기본 개념의 정리가 완성되고, 2005년-2006년 사이에 구체적인 뼈대를 제시하게 되었다.<br /><br /><strong>창시자</strong><br />생교의 창시는 어느 한사람의 사상이나 신앙에 기반하는 것이 아니라, 지구위의 모든 생명체와 특히 인류의 거대한 교감을 통해 서서히 복합되어기는 과정에서 생긴 일종의 단계적 생성이다. 그러므로, 수많은 사상, 이미 알려진 비슷한 철학, 개념들의 복합체가 이 종교의 창시자이다. 그러한 복합체의 형이상학적 사상들을 구체적으로 체계화, 기록화, 도식화, 생학화등을 하는 작업은 누구나 할수 있고, 계속 그러한 사람들이 필요하다. 박종화는 이러한 작업을 하든 사람들중의 하나의 버젼( 버젼 1.0)을 제안하고 보급하는 보직자중의 한사람으로서 가장 초기에 활동을 한 사람이라고 할수 있다.<br /><br /><strong>미래</strong><br />생교는, 일종의 생명복합체 전체의 유산이고, 한 패러다임으로서, 계속 버젼이 올라가고, 더 정교해지게 될것으로 추측된다. 생교는 지속적으로 쌓아올라가며,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체계이기 때문에, 능동적이고 변화적이다. 이것은 기존의 종교가 절대적으로 고착되고, 한 시대나 한 지역, 한 부족등에 종족과 특화되는 것과는 성격이 다르다. <br /><br /><strong>생교의 본질</strong><br />생교는 생명현상 전체를 하나의 거대한 성장하는 정보처리 체계로 본다. 그 체계는 시간속에서 지속적으로 변하고 능동적으로 새로운 교리와, 감정, 사상을 정밀하게 꾸며나간다.<br /> <br /><br /> | + | <p>Bioreligion<br /><br />생교는 종교적인 신앙을 갖고자 하는 인간이 자신의 존재와 생명현상에 대한 이해, 존경, 효율적인 사고를 통해 감정적인 만족을 얻고 행복감과 자신감을 얻기 위해 만들어진 종교이다.<br /><br /><strong>역사</strong><br />생교는 1990년대 말부터 기존의 일부 종교들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필요성이 증가한다는 생각에 따라 발전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초반에 그것에 대한 기본 개념의 정리가 완성되고, 2005년-2006년 사이에 구체적인 뼈대를 제시하게 되었다.<br /><br /><strong>창시자</strong><br />생교의 창시는 어느 한사람의 사상이나 신앙에 기반하는 것이 아니라, 지구위의 모든 생명체와 특히 인류의 거대한 교감을 통해 서서히 복합되어기는 과정에서 생긴 일종의 단계적 생성이다. 그러므로, 수많은 사상, 이미 알려진 비슷한 철학, 개념들의 복합체가 이 종교의 창시자이다. 그러한 복합체의 형이상학적 사상들을 구체적으로 체계화, 기록화, 도식화, 생학화등을 하는 작업은 누구나 할수 있고, 계속 그러한 사람들이 필요하다. 박종화는 이러한 작업을 하든 사람들중의 하나의 버젼( 버젼 1.0)을 제안하고 보급하는 보직자중의 한사람으로서 가장 초기에 활동을 한 사람이라고 할수 있다.<br /><br /><strong>미래</strong><br />생교는, 일종의 생명복합체 전체의 유산이고, 한 패러다임으로서, 계속 버젼이 올라가고, 더 정교해지게 될것으로 추측된다. 생교는 지속적으로 쌓아올라가며,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체계이기 때문에, 능동적이고 변화적이다. 이것은 기존의 종교가 절대적으로 고착되고, 한 시대나 한 지역, 한 부족등에 종족과 특화되는 것과는 성격이 다르다. <br /><br /><strong>생교의 본질</strong><br />생교는 생명현상 전체를 하나의 거대한 성장하는 정보처리 체계로 본다. 그 체계는 시간속에서 지속적으로 변하고 능동적으로 새로운 교리와, 감정, 사상을 정밀하게 꾸며나간다. 생교의 핵심 객체는 이러한 성장하는 거대한 정보체계가 의식화 된 경계가 없는 "유전적뇌"라고 표현할수 있다. 이것을 이해가 쉽게 표현하면 "생정신": (생명의정신, the mind, spirit and brain of life)이라고도 할수 있다. 이런 생명의 정신은 많은 생객체의 유기적 망(network)으로 그려질수 있다. <br /> [[The mind of biome]] | [[The mind of life]]<br /><br /><strong>아와 (awa)</strong><br />한 개념을 기존에 생각하거나 정교히 정립된 것이 없으므로, 그것을 "아와"(awa)라고 명명한다. 아와는, 아무런 기존의 뜻도, 어원도 없는 순수한 이름이며, 위의 생정신을 부르기 위한 이름이다.<br /><br /><strong>생교도</strong><br />생교도는 아와가 어떤 것인지에 대한 감성적, 지적 호기심을 가진 인간을 말하며, 아와를 체계화하고, 다른 사람들이 아와을 쉽게 이해할수 있게 설명하는 것을 수양하는 사람이다. 아와를<br /><br /><br /></p> |
Revision as of 10:54, 4 March 2006
Bioreligion
생교는 종교적인 신앙을 갖고자 하는 인간이 자신의 존재와 생명현상에 대한 이해, 존경, 효율적인 사고를 통해 감정적인 만족을 얻고 행복감과 자신감을 얻기 위해 만들어진 종교이다.
역사
생교는 1990년대 말부터 기존의 일부 종교들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필요성이 증가한다는 생각에 따라 발전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초반에 그것에 대한 기본 개념의 정리가 완성되고, 2005년-2006년 사이에 구체적인 뼈대를 제시하게 되었다.
창시자
생교의 창시는 어느 한사람의 사상이나 신앙에 기반하는 것이 아니라, 지구위의 모든 생명체와 특히 인류의 거대한 교감을 통해 서서히 복합되어기는 과정에서 생긴 일종의 단계적 생성이다. 그러므로, 수많은 사상, 이미 알려진 비슷한 철학, 개념들의 복합체가 이 종교의 창시자이다. 그러한 복합체의 형이상학적 사상들을 구체적으로 체계화, 기록화, 도식화, 생학화등을 하는 작업은 누구나 할수 있고, 계속 그러한 사람들이 필요하다. 박종화는 이러한 작업을 하든 사람들중의 하나의 버젼( 버젼 1.0)을 제안하고 보급하는 보직자중의 한사람으로서 가장 초기에 활동을 한 사람이라고 할수 있다.
미래
생교는, 일종의 생명복합체 전체의 유산이고, 한 패러다임으로서, 계속 버젼이 올라가고, 더 정교해지게 될것으로 추측된다. 생교는 지속적으로 쌓아올라가며,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체계이기 때문에, 능동적이고 변화적이다. 이것은 기존의 종교가 절대적으로 고착되고, 한 시대나 한 지역, 한 부족등에 종족과 특화되는 것과는 성격이 다르다.
생교의 본질
생교는 생명현상 전체를 하나의 거대한 성장하는 정보처리 체계로 본다. 그 체계는 시간속에서 지속적으로 변하고 능동적으로 새로운 교리와, 감정, 사상을 정밀하게 꾸며나간다. 생교의 핵심 객체는 이러한 성장하는 거대한 정보체계가 의식화 된 경계가 없는 "유전적뇌"라고 표현할수 있다. 이것을 이해가 쉽게 표현하면 "생정신": (생명의정신, the mind, spirit and brain of life)이라고도 할수 있다. 이런 생명의 정신은 많은 생객체의 유기적 망(network)으로 그려질수 있다.
The mind of biome | The mind of life
아와 (awa)
한 개념을 기존에 생각하거나 정교히 정립된 것이 없으므로, 그것을 "아와"(awa)라고 명명한다. 아와는, 아무런 기존의 뜻도, 어원도 없는 순수한 이름이며, 위의 생정신을 부르기 위한 이름이다.
생교도
생교도는 아와가 어떤 것인지에 대한 감성적, 지적 호기심을 가진 인간을 말하며, 아와를 체계화하고, 다른 사람들이 아와을 쉽게 이해할수 있게 설명하는 것을 수양하는 사람이다. 아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