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Avian Flu-HOT ISSUE"
Line 28: | Line 28: | ||
</font></span></h1> | </font></span></h1> | ||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63pt; TEXT-INDENT: -18pt; mso-list: l1 level1 lfo1; tab-stops: list 63.0pt"><span lang="EN-US" style="COLOR: black;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size: 10.0pt; mso-bidi-font-family: 굴림"><span style="mso-list: Ignore"><font size="2">①</font><span style="FONT: 7pt "Times New Roman""> </span></span></span><span style="COLOR: black;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size: 10.0pt; mso-bidi-font-family: Tahoma"><font size="2">국가간 교류증대로 인하여 발병시 확산 속도가 빠를 것이며<span lang="EN-US">, AI의 주요 발생지역이 가금류와 인간의 접촉이 상대적으로 많은 인구밀도가 높은 아시아 지역이므로 AI에 대한 아시아 각국의 국제적인 협력 네트워크가 필요함. <br /> |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63pt; TEXT-INDENT: -18pt; mso-list: l1 level1 lfo1; tab-stops: list 63.0pt"><span lang="EN-US" style="COLOR: black;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size: 10.0pt; mso-bidi-font-family: 굴림"><span style="mso-list: Ignore"><font size="2">①</font><span style="FONT: 7pt "Times New Roman""> </span></span></span><span style="COLOR: black;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size: 10.0pt; mso-bidi-font-family: Tahoma"><font size="2">국가간 교류증대로 인하여 발병시 확산 속도가 빠를 것이며<span lang="EN-US">, AI의 주요 발생지역이 가금류와 인간의 접촉이 상대적으로 많은 인구밀도가 높은 아시아 지역이므로 AI에 대한 아시아 각국의 국제적인 협력 네트워크가 필요함. <br /> | ||
− | + | </span></font></span></p> | |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63pt; TEXT-INDENT: -18pt; mso-list: l1 level1 lfo1; tab-stops: list 63.0pt"><span lang="EN-US" style="COLOR: black;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size: 10.0pt; mso-bidi-font-family: 굴림"><span style="mso-list: Ignore"><font size="2">②</font><span style="FONT: 7pt "Times New Roman""> </span></span></span><span style="COLOR: black;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size: 10.0pt; mso-bidi-font-family: Tahoma"><font size="2">아시아 지역의 국가간의<span lang="EN-US"> AI에 대한 발생 상황, 철새, 가금류, 환자를 모니터링하고, 지역 국가의 정부, 연구기관 등의 정보 교류를 위한 상호 협력 네트워크가 필요함<br /> |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63pt; TEXT-INDENT: -18pt; mso-list: l1 level1 lfo1; tab-stops: list 63.0pt"><span lang="EN-US" style="COLOR: black;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size: 10.0pt; mso-bidi-font-family: 굴림"><span style="mso-list: Ignore"><font size="2">②</font><span style="FONT: 7pt "Times New Roman""> </span></span></span><span style="COLOR: black;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size: 10.0pt; mso-bidi-font-family: Tahoma"><font size="2">아시아 지역의 국가간의<span lang="EN-US"> AI에 대한 발생 상황, 철새, 가금류, 환자를 모니터링하고, 지역 국가의 정부, 연구기관 등의 정보 교류를 위한 상호 협력 네트워크가 필요함<br /> | ||
</span></font></span></p> | </span></font></span></p> | ||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63pt; TEXT-INDENT: -18pt; mso-list: l1 level1 lfo1; tab-stops: list 45.0pt 63.0pt"><span lang="EN-US" style="COLOR: black;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size: 10.0pt; mso-bidi-font-family: 굴림"><span style="mso-list: Ignore"><font size="2">③</font><span style="FONT: 7pt "Times New Roman""> </span></span></span><font size="2"><span style="COLOR: black;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size: 10.0pt; mso-bidi-font-family: Tahoma">특히<span lang="EN-US">, AI의 예찰 시스템, 생물학적, 생정보학적 데이터의 축적, 공동 활용을 위한 아시아 공동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시급함<br /> |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63pt; TEXT-INDENT: -18pt; mso-list: l1 level1 lfo1; tab-stops: list 45.0pt 63.0pt"><span lang="EN-US" style="COLOR: black;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size: 10.0pt; mso-bidi-font-family: 굴림"><span style="mso-list: Ignore"><font size="2">③</font><span style="FONT: 7pt "Times New Roman""> </span></span></span><font size="2"><span style="COLOR: black;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size: 10.0pt; mso-bidi-font-family: Tahoma">특히<span lang="EN-US">, AI의 예찰 시스템, 생물학적, 생정보학적 데이터의 축적, 공동 활용을 위한 아시아 공동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시급함<br /> | ||
− | <img style="WIDTH: 814px; HEIGHT: 657px" height="698" | + | <img style="WIDTH: 814px; HEIGHT: 657px" height="698" alt="" width="951" src="/Biowiki-2.4/files/Image/fig1.jpg" /><br /> |
<span lang="EN-US" style="FONT-SIZE: 9pt; FONT-FAMILY: 굴림; mso-ansi-language: EN-US; mso-bidi-font-family: 'Times New Roman'; mso-font-kerning: 1.0pt;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a href="http://gamapserver.who.int/mapLibrary/app/searchResults.aspx"><span style="COLOR: windowtext; TEXT-DECORATION: none; text-underline: none">WHO, </span><span style="COLOR: black">http://gamapserver.who.int/mapLibrary/app/searchResults.aspx</span></a></span><br /> | <span lang="EN-US" style="FONT-SIZE: 9pt; FONT-FAMILY: 굴림; mso-ansi-language: EN-US; mso-bidi-font-family: 'Times New Roman'; mso-font-kerning: 1.0pt;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a href="http://gamapserver.who.int/mapLibrary/app/searchResults.aspx"><span style="COLOR: windowtext; TEXT-DECORATION: none; text-underline: none">WHO, </span><span style="COLOR: black">http://gamapserver.who.int/mapLibrary/app/searchResults.aspx</span></a></span><br /> | ||
<br /> | <br /> |
Revision as of 20:33, 16 February 2007
조류독감 (Avian Influenza)
1. 국내외 현황
① 정의: 조류독감(Avian Influenza)은 닭이나 오리와 같은 가금류 또는 야생조류에서 발생하는 동물성 전염병임.
② 환자 발생: 주로 아시아 각국에서 환자 발생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유럽, 아프리카에서도 환자 발생.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음.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환자 발생이 보고되지 않음. 한국의 경우 2006년 11월, 닭 사육농장에서 발생한 AI를 수의과학검역원이 검사한 결과 가금류에 피해가 큰 “고병원성 AI(혈청형 H5N1)'로 판정되었음 (농림부 발표).
③ WHO가 “Weekly Epidemiological Record” 에 발표한 바에 따르면 2003년 11월 25일부터 2006년 11월 24일까지 influenza A(H5N1) 감염이 확인된 256명, 이 중 사망자 154명 (56%) -베트남(91건), 인도네시아(74건), 태국(25건), 중국(21건) 등 10개국에서 보고됨
④ 감염경로: 철새들이 조류독감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철새들의 저병원성 바이러스가 닭, 오리와 같은 가금류에 옮겨졌을 때에 고병원성을 보일 수 있음. 조류의 배설물 등을 통하여 인간에게도 감염될 수 있는 변종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음.
⑤ AI virus의 경우 막에 표면에 있는 haemagglutinin(HA), neuraminidase (NA) 단백질 조합에 의해 종류가 결정되며 이 중 avian influenza A 고병원성 H5N1 type이 인체감염을 일으키는 실례들이 보고되어 있음
⑥ H5N1 avian influenza neuraminidase inhibitor가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음.
⑦ 미국 NCBI의 경우 Influenza Virus Sequence Database를 서비스 중 (http://www.ncbi.nlm.nih.gov/genomes/FLU/FLU.html)
⑧ 조류독감 바이러스 haemagglutinin (HA) 단백질의 아미노산 변이가 생긴 경우 인간형 수용체(human-type receptor) 와 결합하게 되는 예가 보고됨 (Nature, 2006 )
2. 조류독감 연구 네트워크의 필요성
① 국가간 교류증대로 인하여 발병시 확산 속도가 빠를 것이며, AI의 주요 발생지역이 가금류와 인간의 접촉이 상대적으로 많은 인구밀도가 높은 아시아 지역이므로 AI에 대한 아시아 각국의 국제적인 협력 네트워크가 필요함.
② 아시아 지역의 국가간의 AI에 대한 발생 상황, 철새, 가금류, 환자를 모니터링하고, 지역 국가의 정부, 연구기관 등의 정보 교류를 위한 상호 협력 네트워크가 필요함
③ 특히, AI의 예찰 시스템, 생물학적, 생정보학적 데이터의 축적, 공동 활용을 위한 아시아 공동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시급함
WHO, http://gamapserver.who.int/mapLibrary/app/searchResults.aspx
U.S.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http://www.who.int/csr/disease/avian_influenza/country/cases_table_2007_02_06/en/index.html)
작성:서정민(Jungmin Seo)
2006년 2월 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