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펍메드"
(No difference)
|
Revision as of 22:08, 14 May 2006
1. PubMed:
PubMed는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의 국가의학도서관에서 개발되어 미국 국가생명정보센터(NCBI)의 검색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대표적인 의학 및 생명과학 분야 서지 DB임
○ 미국에는 과학기술부가 없으므로, 미국국립보건원에서 생명의과학분야의 문헌정보화를 하고 있음.
○ 미국 보건원의 NCBI는 한국의 "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에 해당되고, 유럽의 유럽생명정보연구소(EBI)에 해당하는 기관임
1.1. Pubmed의 특징
Pubmed의 유래 : Medline은 CD로 판매되고 있던 의학 및 생명과학정보 문헌정보 검색프로그램이었음. 1997년 6월부터 Medline을 완전 무료 개방하여 웹 서비스로 제공하기 시작함
1.2. Pubmed 사용 현황
한국내 의과대학 도서관, 병원 도서관, 의학학회 등 146개 의학 관련 기관의 웹사이트를 분석하면 PubMed는 71개 기관(48.6%)에서 소개되어 있고, 미국과 스페인과 일본 및 독일의 99개 의학 관련 기관 중 57개(57.6%) 기관이 PubMed의 링크를 제공하고 있음
○ PubMed는 국내외 총 245개 웹사이트 중 128개 기관(52.2%)이 링크
○ PubMed는 전 세계적으로 매월 6,400만 건 정도의 검색이 발생하여 의학 및 생명과학 분야의 기초적이면서 대표적인 문헌정보 DB이자 Web DB라고 할 수 있음
2. 국내 동향
○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KoreaMed와 KoMCI
1996년 설립된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의편협)는 회원 학술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국내문헌의 검색을 위한 KoreaMed(koreamed.org)사업과 KoreaMed 등재학술지 선정을 위한 평가 작업을 시행하고 있음. 1997년 KoreaMed 사업이 시작되었지만, 2000년 후반기부터 의편협에서 직접 운영을 시작하면서 본 궤도에 올라 현재 등재학술지의 영문초록 38,000편 이상이 수록되었음. 현재 7개 학술지에 대한 linkout기능이 추가되어 논문의 전체를 볼 수 있게 되었으며 점차 학회들과의 협의를 통하여 linkout 학술지의 수를 늘여나갈 계획임.
○ NDSL
2001년부터 웹으로 서비스가 시작된 NDSL은 KAIST에서 추진하는 KESLI 전자 저널 컨소시엄을 기반으로 컨소시엄 참여 출판사의 메타데이터 협조와 영국 국립도서관인 BL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Scopus처럼 짧은 시간에 대규모 서지도구로 성장한 e-Gate 형 DB임
NDSL의 운영 담당 기관이 KAIST에서 KISTI로 변경되어, National Digital Archive구축, NDSL 웹 서비스 구축 및 보급, Wireless Digital Library 구축을 목표로 운영되고 있음.
현재 국내 404개 기관이 NDSL과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3. 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의 추진내용
국가생물자원정보센터는 수년전부터 미국의 Pubmed와 같은 의학/생명과학에 특화된 전문 문헌정보시스텀 구축을 진행해 오고 있음. 현재, KoreaMed등과 협력하고 있고 생물자원정보와도 연계된 통합 문헌정보시스템구축과 미국 Pubmed기능 대행 등을 추진방향으로 하고 있음. 2006년 상반기내에 개방형 문헌정보 시스템을 출법할 예정임.
3.1. KoreaMed과 KOBIC(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은 데이터 수집 자동화, 시스템 환경지원, 텍스트 마이닝, KOBIC 서비스와 연계 및 통합을 위한 협력이 진행 중에 있음.
○ KoreaMed와 실무자 수준의 통합관리, 지원을 협의 중에 있음
○ 한글화된 생명과학/의학분야의 미국 Pubmed와 같은 역할을 목표
○ 문헌정보와 생물자원정보를 연계시켜, 실질적인 서열, 구조, 발현 데이터도 함께 열람/이용할 수 있는 체제 구축 추진
3.2 미국의 Pubmed와 협력하여 대한민국 PubMed를 구축을 위한 필요한 네트워크를 계획을 진행해 오고 있음
○ 미국의 NCBI Pubmed의 지점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오고 있음
○ 한국의 이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미국 Pubmed에서의 대한민국 서비스의 부하가 계속 증가함. 이에 따라, 한국에 국가적으로 지정받은 전문서비스 기관이 필요함
○ 국가생물자원정보센터가 가장 적합한 인프라, 전문기술 및 전문 지식을 보유해가고 있음
3.3 생명과학 및 의학 문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고급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 기술 개발
○ 의학 및 생명과학에 특화된 문헌정보분석은 전문가를 필요로 하는 특수 분야임.
○ 유전체정보 등 생물자원정보를 통합하는 국가적 인프라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고급 검색 알고리듬개발 진행 중임
4. 향후 추진 방향
○ 국내․외 연관 기관의 협력 강화
국내의 정보처리기관과 도서관, 보건원과 같은 전문연구기관과 연계하여, 문헌정보서비스 제공
○ 기존 BIT 데이터베이스 및 시스템과의 연계 추진
국내 생물자원정보(소재, 다양성, 유전체정보)의 BioMatrix 연구/개발/분석 시스템 구축과 대한민국 PubMed를 연계시켜, 미국 NCBI의 PubMed와 같은 시스템을 구축하고 아울러, 미국 Pubmed의 한국서비스의 기능도 공식적으로 함
<붙임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