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Immunohistochemistry"
Line 1: | Line 1: | ||
− | <strong><font style="BACKGROUND-COLOR: #ffffff" size="2">Immunohistichemistry (면역염색)<br /> | + | <strong><font style="BACKGROUND-COLOR: #ffffff" size="2"><font style="BACKGROUND-COLOR: #00ffff" size="4">Immunohistichemistry (면역염색)</font><br /> |
<br /> | <br /> | ||
</font></strong><font style="BACKGROUND-COLOR: #ffffff" size="2"> - 특이적인 항체(antibody, 이하 Ab)로 세포, 조직 내의 target 항원(antigen, 이하 Ag)의 위치와 분포 동정이 목적<br /> | </font></strong><font style="BACKGROUND-COLOR: #ffffff" size="2"> - 특이적인 항체(antibody, 이하 Ab)로 세포, 조직 내의 target 항원(antigen, 이하 Ag)의 위치와 분포 동정이 목적<br /> | ||
− | - Ab는 형광물질(fluorescent), colorimetric label이 붙어 있어, label 위치로 | + | - Ab는 형광물질(fluorescent), colorimetric label이 붙어 있어, label 위치로 target Ag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것임.<br /> |
<br /> | <br /> | ||
− | </font><font size="2"><font style="BACKGROUND-COLOR: #ffffff"><strong> | + | </font><font size="2"><font style="BACKGROUND-COLOR: #ffffff"><strong><font style="BACKGROUND-COLOR: #00ff00" size="3"><br /> |
<br /> | <br /> | ||
+ | Protocol 1<br /> | ||
+ | </font><br /> | ||
1. 목적 :</strong> cytokine을 monoclonal Ab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하여 indirect staning!!<br /> | 1. 목적 :</strong> cytokine을 monoclonal Ab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하여 indirect staning!!<br /> | ||
ex) IL-1, IL-4, IL-6, IL-10, IL-12, IFN-r, TNF-α<br /> | ex) IL-1, IL-4, IL-6, IL-10, IL-12, IFN-r, TNF-α<br /> | ||
Line 32: | Line 34: | ||
5) TBS/ Saponin으로 slide washing (3번 * 3분)<br /> | 5) TBS/ Saponin으로 slide washing (3번 * 3분)<br /> | ||
6) TBS/ Saponin으로 1/100으로 희석시킨 goat serum을 20분간 처리하여, non-specific한 binding site를 block<br /> | 6) TBS/ Saponin으로 1/100으로 희석시킨 goat serum을 20분간 처리하여, non-specific한 binding site를 block<br /> | ||
− | 7) Ab로 | + | 7) Ab로 4도씨에서 overnight incubation<br /> |
− | 8) <br /> | + | 8) TBS/ Saponin으로 slide washing (4번), biotin이 붙은 secondary Ab(이하 2nd Ab)로 30분간 slide와 incubation<br /> |
+ | 9) Avidin-biotin-peroxidase를 첨가한 후, distilled water(증류수, 이하 D.W)에 희석시킨 0.5mg/ml DAB solution으로 slide를 incubation시킨다. 그러면 Ag-primary Ab의 정도가 갈색 침전 (precipitate)이 생기게 되어, 이것으로 peroxidase activity를 측정한다.<br /> | ||
+ | 10) TBS로 slide washing (4번)<br /> | ||
+ | 11) Hematoxylin으로 1분간 counterstaining (착색)<br /> | ||
+ | 12) 75% -> 80% -> 100% ethanol 순서로 각각 1분씩 slide를 dehydration<br /> | ||
+ | 13) Slide sealing<br /> | ||
+ | 14) Optical microscope로 분석<br /> | ||
+ | <br /> | ||
+ | <br /> | ||
</font></font> | </font></font> |
Revision as of 16:37, 4 November 2006
Immunohistichemistry (면역염색)
- 특이적인 항체(antibody, 이하 Ab)로 세포, 조직 내의 target 항원(antigen, 이하 Ag)의 위치와 분포 동정이 목적
- Ab는 형광물질(fluorescent), colorimetric label이 붙어 있어, label 위치로 target Ag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것임.
Protocol 1
1. 목적 : cytokine을 monoclonal Ab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하여 indirect staning!!
ex) IL-1, IL-4, IL-6, IL-10, IL-12, IFN-r, TNF-α
2. 재료 및 장비
- Frozen sections (동결절편) of sample tissues
- Glass slides
- Cover slips
- 4% paraformaldehyde, pH 7.4
- Tris-buffered Saline, 0.1% Saponin, pH 7.4
- Tris-buffered Saline/ 0.3% H2O2/ 0.1% Saponin, 0.02% NaN3
- 1% Goat Serum in TBS/ Saponin
- Refrigerator (4도)
- Primary Ab
- Secondary Ab
- Diaminobenzidine tetrachloride
- Hematoxylin
- Ethanol
- Microscope
3. Procedure
1)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동결조직 절편 (8um thickness)을 말린다.
2) 실온에서 절편을 4% paraformaldehyde로 15분간 고정시킨다. (Fixation)
3) TBS/ 0.1% Saponin으로 slide를 각각 5분씩 washing (2번 * 5분)
4) TBS/ H2O2/ Saponin/ NaN3에 30분간 incubation, endogenous peroxidase block
5) TBS/ Saponin으로 slide washing (3번 * 3분)
6) TBS/ Saponin으로 1/100으로 희석시킨 goat serum을 20분간 처리하여, non-specific한 binding site를 block
7) Ab로 4도씨에서 overnight incubation
8) TBS/ Saponin으로 slide washing (4번), biotin이 붙은 secondary Ab(이하 2nd Ab)로 30분간 slide와 incubation
9) Avidin-biotin-peroxidase를 첨가한 후, distilled water(증류수, 이하 D.W)에 희석시킨 0.5mg/ml DAB solution으로 slide를 incubation시킨다. 그러면 Ag-primary Ab의 정도가 갈색 침전 (precipitate)이 생기게 되어, 이것으로 peroxidase activity를 측정한다.
10) TBS로 slide washing (4번)
11) Hematoxylin으로 1분간 counterstaining (착색)
12) 75% -> 80% -> 100% ethanol 순서로 각각 1분씩 slide를 dehydration
13) Slide sealing
14) Optical microscope로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