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랑비에결절"

From Opengenome.net
 
 
Line 1: Line 1:
<span class="text13">&nbsp;
+
<span class="text13">&nbsp;&nbsp;&nbsp;[[말초신경]]의 [[유수섬유]]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잘록하게 들어간 부분으로서, [[중추신경]] 내에서도 볼 수 있다. 1878년 프랑스의 해부학자 L.A.랑비에가 발견하였다. [[미엘린수초]](Myelin sheath)가 여기서 중단되기 때문에 잘록하게 되며 축색은 이어진다.
<p>&nbsp;</p>
+
<p>&nbsp;또 [[신경섬유]]의 분지는 반드시 여기에서 시작된다. 존재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신경의 흥분전도에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p>
<p>중추신경 내에서도 볼 수 있다. 1878년 프랑스의 해부학자 L.A.랑비에가 발견하였다. 수초(<span onmouseover="tooltip_on('','수 : 골수 수, ㉠골수')" onmouseout="tooltip_off()">髓</span>鞘)가 여기서 중단되기 때문에 잘록하게 되며 축색은 이어진다. </p>
 
<p>또 [[신경섬유]]의 분지는 반드시 여기에서 시작된다. 존재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신경의 흥분전도에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p>
 
 
</span>
 
</span>

Latest revision as of 15:33, 18 January 2006

   말초신경유수섬유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잘록하게 들어간 부분으로서, 중추신경 내에서도 볼 수 있다. 1878년 프랑스의 해부학자 L.A.랑비에가 발견하였다. 미엘린수초(Myelin sheath)가 여기서 중단되기 때문에 잘록하게 되며 축색은 이어진다.

 또 신경섬유의 분지는 반드시 여기에서 시작된다. 존재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신경의 흥분전도에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