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 between revisions of "분자생물학"
From Opengenome.net
Line 1: | Line 1: | ||
− | <span class="text13"><span class="text13"> 생물체를 구성하고 있는 [[고분자화합물]], 그 중에서도 특히 [[핵산]]과 [[단백질]]의 구조를 밝히고 그 분자구조의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중요한 생명현상을 설명하려는 생물학의 한 분과.</span> | + | <p><span class="text13"><span class="text13"><strong>Molecular Biology</strong></span></span></p> |
− | <p> <font color="#000000">분자생물학의 발달은 1940년대에 [[DNA]]가 [[유전자]]의 본체임이 밝혀지고, 동시에 DNA의 유전정보가 | + | <p><span class="text13"><span class="text13"> 생물체를 구성하고 있는 [[고분자화합물]], 그 중에서도 특히 [[핵산]]과 [[단백질]]의 구조를 밝히고 그 분자구조의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중요한 생명현상을 설명하려는 생물학의 한 분과.</span> |
− | <p><font color="#000000"> 그 후, 분자생물학의 주류는 DNA의 복제 및 단백질의 생합성</font><font color="#000000">을 중심으로 하여 유전의 본질 및 유전의 메커니즘</font><font color="#000000">을 설명하고, 나아가서 생물체의 조절작용이나 | + | <p> <font color="#000000">분자생물학의 발달은 1940년대에 [[DNA]]가 [[유전자]]의 본체임이 밝혀지고, 동시에 DNA의 유전정보가 [[RNA]]를 통하여 [[세포질]]</font><font color="#000000"> 속에서 단백질 합성</font><font color="#000000">을 지배한다는 사실이 차츰 알려지게 되었다. 더욱이 1953년 로잘린 프랭클린과 윌슨의 X-선 데이타를 이용한 J.D.웟슨과 F.H.C.크릭의 DNA의 [[이중나선구조]]의 모형이 제출됨에 이르러 새로운 단계를 맞이하였다. </font></p> |
− | </span> | + | <p><font color="#000000"> 그 후, 분자생물학의 주류는 DNA의 복제 및 단백질의 생합성</font><font color="#000000">을 중심으로 하여 유전의 본질 및 유전의 메커니즘</font><font color="#000000">을 설명하고, 나아가서 생물체의 조절작용이나 [[진화]]의 현상을 설명하는 것으로 되었다. 따라서, 분자생물학의 중심이 되는 것은 분자유전</font><font color="#000000">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근육의 기본이 되는 수축단백질인 [[액토미오신]]이라는 단백질의 분자구조를 바탕으로 근육의 수축운동을 설명한다든지, 뇌에 있어서의 기억의 기작을 단백질이나 RNA의 미세한 구조의 변화로 설명하려는 일 등도 분자생물학에 포함시키고 있다.</font> </p> |
+ | </span></p> |
Revision as of 22:00, 5 January 2006
Molecular Biology
생물체를 구성하고 있는 고분자화합물, 그 중에서도 특히 핵산과 단백질의 구조를 밝히고 그 분자구조의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중요한 생명현상을 설명하려는 생물학의 한 분과.
분자생물학의 발달은 1940년대에 DNA가 유전자의 본체임이 밝혀지고, 동시에 DNA의 유전정보가 RNA를 통하여 세포질 속에서 단백질 합성을 지배한다는 사실이 차츰 알려지게 되었다. 더욱이 1953년 로잘린 프랭클린과 윌슨의 X-선 데이타를 이용한 J.D.웟슨과 F.H.C.크릭의 DNA의 이중나선구조의 모형이 제출됨에 이르러 새로운 단계를 맞이하였다.
그 후, 분자생물학의 주류는 DNA의 복제 및 단백질의 생합성을 중심으로 하여 유전의 본질 및 유전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고, 나아가서 생물체의 조절작용이나 진화의 현상을 설명하는 것으로 되었다. 따라서, 분자생물학의 중심이 되는 것은 분자유전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근육의 기본이 되는 수축단백질인 액토미오신이라는 단백질의 분자구조를 바탕으로 근육의 수축운동을 설명한다든지, 뇌에 있어서의 기억의 기작을 단백질이나 RNA의 미세한 구조의 변화로 설명하려는 일 등도 분자생물학에 포함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