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From Opengenome.net

펍메드

307 bytes added, 22:10, 14 May 2006
no edit summary
1. PubMed: <br />PubMed는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의 국가의학도서관에서 개발되어 미국 국가생명정보센터(NCBI)의 검색프로그램에서 운영되는 대표적인 의학 및 생명과학 분야 서지 DB임 <br />○ 미국에는 과학기술부가 없으므로, 미국국립보건원에서 생명의과학분야의 문헌정보화를 하고 있음. <br />○ 미국 보건원의 NCBI는 한국의 &quot;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quot;에 해당되고, 유럽의 유럽생명정보연구소(EBI)에 해당하는 기관임 <br /><br />1.1. Pubmed의 특징 <br />Pubmed의 유래 : Medline은 CD로 판매되고 있던 의학 및 생명과학정보 문헌정보 검색프로그램이었음. 1997년 6월부터 Medline을 완전 무료 개방하여 웹 서비스로 제공하기 시작함 <br />1.2. Pubmed 사용 현황 <br />한국내 의과대학 도서관, 병원 도서관, 의학학회 등 146개 의학 관련 기관의 웹사이트를 분석하면 PubMed는 71개 기관(48.6%)에서 소개되어 있고, 미국과 스페인과 일본 및 독일의 99개 의학 관련 기관 중 57개(57.6%) 기관이 PubMed의 링크를 제공하고 있음 <br />○ PubMed는 국내외 총 245개 웹사이트 중 128개 기관(52.2%)이 링크 &nbsp;<br /><span class="day01_01"><span class="main_topnews_02"><span class="day01_01">○ 메드라인/펍메드는 1996년부터 4,600개 이상 학술지의 초록을 보유하고 있는 아마도 세계에서 가장 큰 생물&middot;의학 분야의 데이터베이스일 것이다</span></span></span><br />○ PubMed는 전 세계적으로 매월 6,400만 건 정도의 검색이 발생하여 의학 및 생명과학 분야의 기초적이면서 대표적인 문헌정보 DB이자 Web DB라고 할 수 있음 <br /><br /><br />2. 국내 동향 <br />○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KoreaMed와 KoMCI <br />1996년 설립된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의편협)는 회원 학술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국내문헌의 검색을 위한 KoreaMed(koreamed.org)사업과 KoreaMed 등재학술지 선정을 위한 평가 작업을 시행하고 있음. 1997년 KoreaMed 사업이 시작되었지만, 2000년 후반기부터 의편협에서 직접 운영을 시작하면서 본 궤도에 올라 현재 등재학술지의 영문초록 38,000편 이상이 수록되었음. 현재 7개 학술지에 대한 linkout기능이 추가되어 논문의 전체를 볼 수 있게 되었으며 점차 학회들과의 협의를 통하여 linkout 학술지의 수를 늘여나갈 계획임. <br /><br />○ NDSL <br />2001년부터 웹으로 서비스가 시작된 NDSL은 KAIST에서 추진하는 KESLI 전자 저널 컨소시엄을 기반으로 컨소시엄 참여 출판사의 메타데이터 협조와 영국 국립도서관인 BL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Scopus처럼 짧은 시간에 대규모 서지도구로 성장한 e-Gate 형 DB임 <br />NDSL의 운영 담당 기관이 KAIST에서 KISTI로 변경되어, National Digital Archive구축, NDSL 웹 서비스 구축 및 보급, Wireless Digital Library 구축을 목표로 운영되고 있음. <br />현재 국내 404개 기관이 NDSL과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br /><br /><br /><br /><br /><br />3. 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의 추진내용 <br />국가생물자원정보센터는 수년전부터 미국의 Pubmed와 같은 의학/생명과학에 특화된 전문 문헌정보시스텀 구축을 진행해 오고 있음. 현재, KoreaMed등과 협력하고 있고 생물자원정보와도 연계된 통합 문헌정보시스템구축과 미국 Pubmed기능 대행 등을 추진방향으로 하고 있음. 2006년 상반기내에 개방형 문헌정보 시스템을 출법할 예정임. <br />3.1. KoreaMed과 KOBIC(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은 데이터 수집 자동화, 시스템 환경지원, 텍스트 마이닝, KOBIC 서비스와 연계 및 통합을 위한 협력이 진행 중에 있음. <br />○ KoreaMed와 실무자 수준의 통합관리, 지원을 협의 중에 있음 <br />○ 한글화된 생명과학/의학분야의 미국 Pubmed와 같은 역할을 목표 <br />○ 문헌정보와 생물자원정보를 연계시켜, 실질적인 서열, 구조, 발현 데이터도 함께 열람/이용할 수 있는 체제 구축 추진 <br />3.2 미국의 Pubmed와 협력하여 대한민국 PubMed를 구축을 위한 필요한 네트워크를 계획을 진행해 오고 있음 <br />○ 미국의 NCBI Pubmed의 지점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오고 있음 <br />○ 한국의 이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미국 Pubmed에서의 대한민국 서비스의 부하가 계속 증가함. 이에 따라, 한국에 국가적으로 지정받은 전문서비스 기관이 필요함 <br />○ 국가생물자원정보센터가 가장 적합한 인프라, 전문기술 및 전문 지식을 보유해가고 있음 <br />3.3 생명과학 및 의학 문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고급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 기술 개발 <br />○ 의학 및 생명과학에 특화된 문헌정보분석은 전문가를 필요로 하는 특수 분야임. <br />○ 유전체정보 등 생물자원정보를 통합하는 국가적 인프라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고급 검색 알고리듬개발 진행 중임 <br />4. 향후 추진 방향 <br />○ 국내․외 연관 기관의 협력 강화 <br />국내의 정보처리기관과 도서관, 보건원과 같은 전문연구기관과 연계하여, 문헌정보서비스 제공 <br />○ 기존 BIT 데이터베이스 및 시스템과의 연계 추진 <br />국내 생물자원정보(소재, 다양성, 유전체정보)의 BioMatrix 연구/개발/분석 시스템 구축과 대한민국 PubMed를 연계시켜, 미국 NCBI의 PubMed와 같은 시스템을 구축하고 아울러, 미국 Pubmed의 한국서비스의 기능도 공식적으로 함 <br /><br /><br />&lt;붙임 1&gt; <br /><br /><br />
Anonymous user

Navigation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