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edits
Changes
From Opengenome.net
no edit summary
<ulp> <lifont size="3">■ 1883년 E.슐체와 E.보스하르트가 사탕무의 즙액에서 발견하였다. <br />정의<br />-<span class/font></p><p><font size="text133">아미노산의 하나인 글루탐산의 아미드■ [[분자식]]은 C6O3H10N2, 녹는점 184∼185 ℃의 바늘 모양의 결정이다. <br /><br /></spanfont></lip> <lip><span classfont size="text133">내용<br />-■ 식물의 발아종자(호박 ·해바라기 등) 내에 축적축적된다. <br /><br />-</font></p><p><font colorsize="#0000003">■ 포유류 혈액 속의 [[아미노산]]의 주성분으로, 동식물의 단백질 속에 존재한다. <br /><br /></font></p><p><font size="3">■ 사탕무의 즙에서 분리시키거나 또는 L-글루탐산-膨-히드라지드의 접촉환원에 의해서 생기며, 동식물의 단백질의 가수분해로는 생기지 않는다.<br /><br /></font></p><p><font size="3">■ [[단백질 속에 존재]]을 구성하는 아미산의 하나로, 생체 내에서는 [[암모니아]]의 저 장역할을 한다. <br /><br /></spanfont></lip><p><font size="3">■ 또, 핵산의 [[퓨린]] 핵 생성에 관여하고, 페닐아세트산과 결합하여 해독한다. 신장이나 기타 조직 내에서 글루탐산과 암모니아로부터 합성된다. <br /><br /></font> </ul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