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relc4tbocbrelrelle<p><font facesize="굴림3" sizeface="3굴림"> <font size="2">주ì´짠ÃÂÂê²½ìÂÂìÂÂ주어진 환경에서 [[ì ì Âì²´유전체]](genome)ì ìÂÂÃÂÂì¬ ë°ÂÃÂÂëÂÂë ë¨백ì§Âë¤ì 에 의하여 발현되는 단백질들을 [[ë¨백체단백체]](proteome)ë¼ ÃÂÂë©°라 하며, ì´를 ì°구ÃÂÂë ÃÂÂ문ì ë¨백체ÃÂÂ이를 연구하는 학문을 단백체학(proteomics)ì´ë¼고ÃÂÂë¤이라고 한다. ì´ìÂÂì 어원은 "the set of PROTEins coded by a GenOME"ìÂÂì ë¹Â롯ëÂÂìÂÂë¤에서 비롯되었다. ìµÂê·¼최근, Proteomicsê° ëÂÂëÂÂë ì´ì ë Proteomics가 대두된 이유는 첫째첫째, [[mRNA]]ì ë°ÂÃÂÂì¼론ë¨백ì§Âì ë°ÂÃÂÂì ìÂÂ측àì ìÂÂì¼며의 발현으로 단백질의 발현을 예측할 수 없으며, ëÂÂ째둘째, ë¨백ì§Âì´ 단백질이 [[ë³ÂÃÂÂ변형]](methylation, phosphorylation ë±ë±등등)ë ê²Âì 된 것을 gene sequenceìÂÂìÂÂë ì ì ìÂÂì¼ë¯Âë¡ proteomeì ì°구ÃÂÂê² ë ê²Âì´ë¤sequence에서는 알 수 없으므로 proteome을 연구하게 된 것이다.</font></font></p><p><font facesize="굴림2" sizeface="2굴림"> ì¼ë°Âì Âì¼론genomeì ìÂÂô mRNAë¡ 일반적으로 genome에 의해 mRNA로 [[ì Âì¬전사]]ê° ëÂÂë©´ ê·¸ ì Âì¬갠ë ê²Âì 가 되면 그 전사가 된 것을 [[리보ìÂÂ리보솜]]ìÂÂìÂÂì ë¨백ì§Âë¡ ë²ÂìÂÂô ë¸ë¤안에서 단백질로 번역해 낸다. ÃÂÂì§Â맠genomeì ì Âë³´ë ì ÂìÂÂ�%하지만 genome의 정보는 전사 과정에서 [[intron]]이라고 하는 비정보 영역과 [[exon]]이라고 하는 정보 영역을 선택적으로 취하게 되고 이것을 다시 번역과정에서 변형시켜서 최종적인 단백질로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정확한 유전자의 배열을 안다고 해도 실재 세포내에서 기능을 담당하는 단백질과는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맹점이 genome project 연구에서 proteomics 연구로 진행된 배경이 될 수 있다. </font></p><p><font size="2" face="굴림">이</font><font size="2" face="굴림">들 Proteome 분석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font></p><p><font size="2" face="굴림">1) 정제 과정 없이 조직, 개체등 시료에 존재하는 모든 단백질을 펼쳐 분석할 수 있다.<br />2)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한 눈에 알 수 있다.<br />3) 유전자에 의한 현상과 유전자 외적요인(multigenic/epigenic)에 의한 현상을 쉽게 추적할 수 있다.<br />4) 정상조직과 질병 조직, 그리고 좋은 품종과 나쁜 품종간의 단백질 발현 차이를 알 수 있다.</font></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