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edits
Changes
From Opengenome.net
no edit summary
<br />
[[image:disffu.jpg]] <br />
<br />
<br />
<br />
[[image:agglu.jpg]] <br />
<br />
<strong>a) 능동응집법 (active agglutination)<br /></strong>이 방법은 입자상태의 항원을 항체가 직접 결합하여 입자를 응집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혈액형 검사에 이용되는 혈구응집법 (hemmaglutination) 은 대표적인 능동응집법으로 적혈구에 대한 항원 - 항체 반응을 확인할 때 사용한다.<br />
<br />
<strong>b) 수동응집법 (passive agglutination)</strong><br />
수용성인 항원을 미리 입자에 결합시켜 물에 녹지 않는 입자상태로 전환시킨 후, 그 항원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입자가 응집되는 것을 확인한다. 양의 적혈구 (SRBC) 에 수용성 항원을 결합시켜 사용하기도 하며, 인공적인 고무입자 (latex polymer) 에 항원을 결합시켜 응집 반응에 이용하기도 한다.<br />
<br />
<strong>c) 응집방해 (agglutination inhibition)<br /></strong>응집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특정한 항ㅊ테가 억제하는 현상을 말하며, 주로 혈구응집기능이 있는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유무를 확인할 때 사용한다. 바이러스의 항원 중에는 혈구를 응집시키는 항원이 있다. 이 경우, 바이러스의 혈구 응집원에 대한 항체는 바이러스 항원이 혈구 응집을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항원에 대한 항체가 생성되었는 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혈구응집방해 (hemagglutination inhibition, HI)라고 부른다.<br /><br /><br /><br /><strong><font style="BACKGROUND-COLOR: #ccffcc">3. 방사능 면역시험법 (radio-immuno assay, RIA)<br /></font></strong>표준되는 항원을 방사능으로 표지하여, 항체와 면역 침전시킨다. 이때, 방사능으로 표지되지 않은 항원 (시료) 를 넣어주면, 방사능 표지된 표준항원의 침전이 줄어들게 되어, 침전속의 방사능이 줄어든다. 침전 속의 방사능 양이 줄어드는 정도를 측정하여 시료 중의 항원의 양을 측정한다.<br /><br />[[image:ria.jpg]] <br />이 방법은 항원의 양을 측정할 때 측정할 때 널리 사용되었으며, 매우 민감한 방법이나, 방사능을 사용한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는 많은 경우 효소결합면역흡착법으로 대치되고 있다. 고체 방사능 면역시험법 (solid phase RIA, SRIA) 은 일반적인 RIA를 개선한 방법으로 항원을 미리 고체로 된 매질에 결합시킨 후, 방사능 표지된 항체와 반응시킨 다음, 항원과 결합되어 있는 방사능 항체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다.<br /><br /><br /><strong><font style="BACKGROUND-COLOR: #ccffcc">4. 면역조직화학적 기술 (immunohistochemical techniques)</font><br /></strong>항체를 이용하여, 세포나 조직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세포나 조직에 특정한 항우너의 존재유무나 항우너의 양과 위치를 조사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형광물질과 결합된 항체, 효소가 결합된 항체, 그리고 금과 같은 금속이 결합된 항체 등을 이용하여 세포내의 항원의 존재나 조직내의 항원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br /><br />a) 면역형광시험법 (immunofluorescence assay, IFA)<br />b) 면역전자현미경법 (immunoelectron microscopy)<br /><br /><br /><strong><font style="BACKGROUND-COLOR: #ccffcc">5. 보체 고정 (complement fixation)</font></strong><br />항원 - 항체 복합테는 보체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다. 특히, IgM, IgG1, IgG2, IgG3급의 항체가 적혈구에 결합되었을 때, 보체를 넣어주면 적혈구가 파괴된다. (보체매개성 용해, complement mediated lysis) 이 적혈구의 용혈현상을 이용하여 항체생성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을 보체고정법이라고 한다. 항원 - 항체 복합체가 들어있는 용액에 보체를 넣어주면, 보체활성화로 인하여 보체 용액 내의 보체들이 모두 활성화되어 기존의 보체들이 사라지게 된다. (보체고정, complement fixation) 이 보체가 고갈된 용액을 다시 항체가 결합된 적혈구 용액에 넣어주어도 더 이상 보체활성화가 유도되지 않아 적혈구의 용혈을 관찰할 수 없다.<br />
<br />
<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