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edits
Changes
From Opengenome.net
no edit summary
<palign="left"><font size="2">동맥경화는 염증성 질환이다. Hypercholesterolemia (고지혈증), 특히 LDL cholesterol이 높은 경우가 동맥경화의 주요한 위험 인자이므로 fatty streak (지방 선조)의 형성 과정은 지방의 축적 뿐 아니라 사실 더 많은 인자가 관여한다. 바로 fatty streak가 순수한 염증성 병변으로 동맥경화의 가장 초기 증상이라고 할 수 있다. Hypercholosterol로 인한 fatty streak를 형성하기 위해서 먼저 endothelial dysfuncton (내피세포 기능 장애)가 일어나는데, LDL의 증가 외에 흡연, 고혈압, 당뇨, 유전적 변이, 감염 인자 (Herpes virus, 클라미디아 균 등)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Endothelial dysfunction은 혈관 손상에 의한 대상성 반응으로 인해 endothelial cell (EC, 내피세포)의 정상적 항상성이 변화되어 생기는데, 혈관 손상으로 인해 혈관 투과성이 증가할 뿐 아니라, monocyte와 같은 leukocyte의 EC로의 유착이 증가한다. 그리고 intima 내에서 monocyte의 분화가 macrophage를 형성, LDL과의 결합으로 foam cell (거품 세포)을 형성한다. 지금부터 동맥경화의 초기 증상인 <strong>monocyte recruitment</strong>와 <strong>foam cell</strong> 형성에 대해 설명해 보겠다. <br />
<br />
<strong>[[image: mechanism.jpg]]<br />
<br />
<br />
[[image:mechanism2.jpg]]<br /><br /><strong>② Foam cell 형성 </strong><br />1. LDL (low density lipoprotein) 입자들이 동맥벽을 통과하면, protepglycan이 LDL을 잡아서 산화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킨다. 왜냐하면 LDL은 LDLR (LDL receptor)에 흡수 속도가 늦고, 그 receptor를 downregulation시키기 땨문이다. 반면 LDL의 변형된 형태인 acetyl LDL이나 oxLDL은 이들의 receptor (acetyl LDLR = SR-A, oxLDLR = CD36, SR-A) 에 대해 흡수 속도가 빠르고, receptor 또한 세포내 cholesterol의 증가와 반응하여 downregulation되지 않는다.<br /> - LDL의 산화에 관여하는 효소 : LO (lipoxygenase), MPO (myeloperoxidase), i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NADPHox (NADPH oxidase) <br /><br />2. VLDL (very low density lipoprotein)은 LPL에 의해 변형이 쉽게 일어나고, 그 결과 잔여 입자들은 proteoglycn에게 잡히고, 산화적 변형 (oxidativs modification)이 일어난 후, macrophage에게 흡수된다.<br /><br />3. Fatty streak로 인한 foam cell을 형성한다.<br /> - 축적된 산화된 lipid들은 fatty streak를 형성하고, 이들은 macrophage에 의해 흡수, macrophasge는 foam cell로의 변형이 일어나는 것이다.</font></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