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From Opengenome.net

면역학 Immunology

4,899 bytes added, 15:15, 9 January 2006
no edit summary
<p><font color="#993366" size="3"><strong>1. 면역학의 개념</strong></font></p>
<p>면역학은 병원미생물의 침입과 숙주의 특이적 또는 비특이적 저항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저항성이란 병원미생물에 대하여 숙주가 저항하는 모든 성질과 특이적인 감염에서 회복된 개체는 동일 질병이 다시 감염되지 않도록 방어가 증진되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 면역학의 의미는 숙주의 체내에 침입하나 체내에서 생긴 이물질에 대한 저항성을 총칭하는 것이다. 면역성은 개체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자연면역(선천면역)과 개체가 출생 후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서 후천적으로 얻어지는 획득면역(후천면역)으로 구분한다.</p>
<p><strong><font color="#00ccff" size="3"><font color="#0000ff">1)&nbsp; 면역</font></font></strong></p>
<p><font size="2">&nbsp;&nbsp;&nbsp; - [http://home.hanmir.com/~yoon0908/immune/6.htm <font color="#993366"><strong>면역원 및 항원</strong></font>]</font></p>
<p><font size="2">&nbsp;&nbsp;&nbsp; - [http://home.hanmir.com/~yoon0908/immune/7.htm <strong><font color="#993366">면역글로불린(항체)</font></strong>]</font></p>
<p><font size="2">&nbsp;&nbsp;&nbsp; - [http://home.hanmir.com/~yoon0908/immune/8.htm <strong><font color="#993366">면역체계의 세포들</font></strong>]</font></p>
<p><font size="2">고등동물은 특정 세균 또는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기 위해 <strong>면역응답(immune response)</strong>이라고 하는 매우 복잡한 기구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면역학적 응답은 신체가 이종 거대분자 및 세균세포를 중화시킬 수 있는 종합적인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어난다. 이와같이 면역응답을 유발시키는 외부물질을 <strong>항원(antigen)</strong>이라 부른다. 항원자극의 결과로 면역계통은 <strong>항체(antibody)</strong> 또는 <strong>면역 글로불린(immunoglobulin)</strong>이라고 하는 특이한 단백질과 활성 T세포라고 하는 특이한 세포를 만들어낸다.&nbsp;침입해 들어오는 미생물은 그 숙주에게는 없는 다양한 거대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항체와 활성 T세포가 생성되게 되며 생성된 항체 및 활성 T세포는 이종물질을 인지하여 이를 파괴시키게 된다.</font></p>
<p><font size="2">&nbsp;&nbsp;면역응답은 3가지 중요한 특징을 보여준다. 즉 <strong>특이성(specificity)</strong>, <strong>기억(memory)</strong>, <strong>관용(tolerance)</strong>이다.</font></p>
<p><font size="2">&nbsp;&nbsp;항체가 주역이 되는 면역을 <strong>체액성 면역(humoral immunity)</strong>이라 부르며 활성 T세포에 기반을 둔 면역을 <strong>세포성 면역(cellular</strong> <strong>immunity)</strong>이라 부른다.</font></p>
<p><font size="2">&nbsp;&nbsp;다음은 면역응답의 몇 가지 특징들이다.</font></p>
<ol type="1">
<li><font size="2">비록 전부는 아니지만, 많은 거대분자들은 면역응답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물질들을 면역원이라 한다.</font> </li>
<li><font size="2">실제로 모든 경우에 있어서 이종 거대분자에 대한 항체는 동물이 이종 거대분자에 의한 침입을 받았을 때 형성된다.</font> </li>
<li><font size="2">항체와 항원 간의 반응은 높은 특이성을 가지고 일어난다. 한 종류의 항원에 대해 만들어진 항체나 활성화된 T세포는 일반적으로 다른 항원과는 반응하지 않는다.</font> </li>
<li><font size="2">모든 항원-항체 반응들이 유익한 것은 아니다. 즉 과민증이나 자가면역반응에 관련된 항원-항체 반응은 해롭다.</font> </li>
<li><font size="2">다양한 이종의 거대분자에 대해서는 항체가 형성되지만, 동물 자신의 조직에 있는 거대분자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는 항체가 형성되지 않는다. 즉 동물이 자신의 거대분자와 이종 거대분자를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font> </li>
<li><font size="2">숙주에 침입해 오는 미생물과 바이러스는 숙주에 대해 항원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많은 수와 종류의 거대분자를 가지고 있으며, 숙주는 면역응답을 일으켜서 특정 질병을 방어, 제어할 수 있는 면역 절차를 확립하게 된다.</font> </li>
<li><font size="2">항원-항체 반응의 높은 특이성 때문에 많은 연구와 진단절차에 이를 이용하고 있다.</font> </li>
</ol>
<script type="text/javascript">window.open('http://myhome.paran.com/popup/hitel','notice','width=315,height=335,scrollbars=no')</script>
<p><strong><font color="#0000ff" size="3"></font></strong>&nbsp;</p>
0
edits

Navigation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