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From Opengenome.net

Domain

2,229 bytes removed, 13:52, 9 June 2006
no edit summary
<ul>
<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LINE-HEIGHT: 150%" align="justify">보통 큰 단백질의 삼차구조는 도메인(<font size="4"><strong>[[domainMotif]])이라고 불리는 공 모양 또는 섬유 모양 부분으로 구분된다. &nbsp;구조적으로 domain은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가 뭉쳐져서 만들어진 것으로 큰 단백질의 경우에는 X-ray나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nbsp;이러한 별개의 부분들은 단백질의 다른 부분과 쉽게 구별이 되지만 결국 폴리펩타이드 사슬로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단백질이다. &nbsp;예를 들면&nbsp; hemagglutinin은 공 모양의 도메인(globular domain)과 섬유 모양의 도메인(fibrous domain)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vs Domain</strong></font></p> <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LINE-HEIGHT: 150%" align="justify">Domain은 100-200개의 잔기(residue)로 이루어진 구조로, [[&alpha; helix]], [[&beta; sheet]], [[turn]], [[random coil]]의 구조가 다양하게 조합되어 있다. &nbsp;때로는 특이한 구조로 한 도메인을 이루기도 하는데, 특정 아미노산이 많이 모여있는 도메인(proline-rich domain 등) 그 예이다.<font color="#800080" size="4"><strong></strong></font></p> <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LINE-HEIGHT: 150%" align="justify">때때로 도메인이라는 용어는 기능적인 부분을 일컬을 때 사용하기도 한다. &nbsp;예를 들면, kinase domain과 같이 단백질에서 효소의 [[촉매]] 작용을 일으키는 부분을 가리키기도 하고, DNA-binding domain이나 membrane-binding domain과 같이 한 단백질 내에서 [[DNA]]나 생체막과 결합하는 부위를 가리키기도 한다. &nbsp;이러한 기능적인 도메인(functional domain)은 주로 실험을 통해서 밝혀진다. &nbsp;보통 단백질의 활성도는 삼차원적 구조로 정해지기 때문에 기능적 도메인은 적어도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구조적 도메인(structural domain)으로 구성되어 있다.<font color="#800080" size="4"><strong>Domain</strong></font></p> <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LINE-HEIGHT: 150%" align="justify">삼차구조는 단순한 구성요소로 복잡한 분자를 만들어낸다는 원리로 생성된다. &nbsp;결국 [[이차구조]]의 모티프처럼 삼차구조의 도메인이 구성요소로 작용하여 각기 다른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것이다.&nbsp;&nbsp;표피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가 바로 그 예이다.</p>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http://myhome.hanafos.com/~s9euno/fig3/fig3-12.gif <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LINE-HEIGHT: 150%" align="centerjustify"><font face="돋움" color="#6666ff" size="32">도메인은 삼차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 모양 또는 섬유 모양 부분으로 구분된다. 구조적으로 도메인(domain)은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가 뭉쳐서 만들어진 큰 단백질의 경우에 x-ray나 전자현미경으로 관찰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hemagglutinin은 공 모양의 도메인과 섬유 모양의 도메인으로 구성되어져 있다.<strongbr />구성요소를 이용해 그린 여러 가지 단백질도메인은 100-200개의 잔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alpha; helix]], [[&beta; shee]]t, [[turn]], [[random coil]]의 구조가 다양하게 조합되어있고, 때로는 특이한 구조의 도메인을 이루기도 하며 특정 아미노산이 모인 proline-rich domain등이 있다.<br /strong>때로는 기능적인 부분을 일컬을때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kinase domain 과 같이 단백질에서 효소의 촉매 작용을 일으키는 부분을 나타내기도 하고, DNA-binding domain이나 membrane-binding domain과 같이 하나의 단백질내에서 DNA나 생체막과 결합하는 부위를 가르키기도 한다. 이런 기능적인 도메인은 주로 실험을 통해 밝혀지며, 적어도 하나 또는 여러개의 구조적 도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font></p> <p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LINE-HEIGHT: 150%" align="justify">EGF는 물에 잘 녹는 작은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호르몬으로, 피부나 연결조직의 세포에 붙어서 세포분열을 일으키는 물질이다. &nbsp;세포 표면에는 EGF 전구체(precursor)가 붙어있는데, 이 전구체는 EGF 도메인이 여러 개 반복적으로 붙어 있는 형태이다. &nbsp;여기에 단백분해효소가 작용하여 EGF를 하나씩 떼어내어 독립적인 EGF가 생성된다. &nbsp;또한 EGF 도메인은 조직 플라스미노젠 활성체(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PA), Neu 단백질, Notch 단백질에도 존재한다. &nbsp;여기서 TPA는 심장마비환자에게 혈전용해제로 쓰는 [[단백분해효소]]([[protease]])이고, Neu 단백질은 배발생(embryonic differentiation)에 관여하는 단백질이며, Notch 단백질은 세포들이 서로 달라 붙을 수 있도록 하는 세포부착 분자(cell-adhesion molecule)이다.&nbsp;</p>
</ul>
0
edits

Navigation menu